[서평] 방영민 목사의 '책숲 산책' 신들과 함께 / 이상환 지음

 

서론

이상환 교수님의 책이 좋다는 이야기를 여러 번 들었다. 그래서 나의 독서 스케줄에서 이 책을 읽을 날을 기다리고 있었다. 독자에게 유익하고 감동을 주는 책이 있다는 소식을 들으면 기대가 된다. 더구나 신뢰할 수 있는 목사님에게 그런 말을 들으면 더 관심을 갖게 된다. 이 책은 바로 나의 가슴을 두드리고 소녀처럼 누군가를 기다리는 마음을 느끼게 해준 작품이다.

아니나 다를까 좋은 소문은 사실이였다. 책을 읽는 내내 흥미롭게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교리와 암기의 영역으로 소개받은 하나님을 성경과 이해의 영역으로 안내하고 인도하고 있었다. 사진으로 보았던 장엄한 북극의 오로라를 실제 내가 그곳에서 보게해 주는 것이였다. 우주가 얼마나 광활한지 듣기만 했던 것을 내가 그곳에 서 있게 해주는 책이였다.

저자 또한 이 책을 통해 하나님을 향한 신앙고백을 하고 하나님께 예배를 드린다. 학술 서적이면서 대중적인 글을 쓴 저자의 실력이 대단하다. 하지만 그동안 성경을 연구하며 자신이 만나고 경험하고 깨달은 하나님을 책을 통하여 높여드리고 있다. 암기의 영역을 무시하는 게 아니다. 오히려 이해의 영역과 암기의 영역이 선순환이 되도록 연결하고 있다.

고대 근동의 세계관

구약 성경을 고대 근동의 문화와 신화와 비교하면서 읽는 것을 여전히 부정적이고 불경하게 생각하는 자들이 있다. 이것은 마치 성경 자체를 신격화시키는 무서운 독선이 될 수 있다. 성경은 하나님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가르쳐주고 믿음의 강화와 신앙의 유익을 위해 주어진 하나님의 계시이다. 그러나 이 성경 자체가 신인 것처럼 우리에게 우상이 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

근본주의자들에게 나타나는 심각한 오류 중에 하나는 바로 문자 그대로 믿어야 한다는 것이다. 성경에서 드러나는 하나님의 마음과 계획과 경륜에 관심을 갖고 하나님을 찾아야 하는데 문자를 통해 찾으려는 단편적인 생각을 조심해야 한다. 물론 문자를 통해 하나님이 계시되지만 그 문자가 어떤 세계관과 배경과 어떤 문화와 문맥 속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보아야 한다.

단어는 시간을 따라 의미가 변한다. 그렇다면 1차 독자에게 사용된 단어의 의미와 오늘날 갖는 의미는 다를 것이다. 그렇기에 성경을 읽을 때 문자주의에 함몰되어서는 안된다. 구약에 등장하는 하나님을 구약에 나오는 여러 신들의 배경 속에서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수많은 이방신들의 세계 속에서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우리는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신약 성경도 제2성전기의 배경과 문화와 유대 배경에서 읽으려고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동일하게 이것도 불경하고 성경의 권위를 훼손하는 것처럼 생각하는 자들이 있다. 당시의 배경과 문화를 통해 율법과 예수 그리스도를 더욱 풍성하게 이해하는 방법인데 이것이 성경을 변질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될 것이다. 오히려 신약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통로이다.

이렇듯 저자는 고대 근동의 세계관을 통해 하나님을 우리에게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동안 단면적이고 단선적이고 평면적인 하나님을 보았다면 저자는 고대의 세계와 신관과 배경을 통해 하나님을 우리에게 다면적이고 복선적이며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때의 세계관으로 당시의 사람들의 신관도 이해하게 된다. 고대의 문자를 소개하는 부분에서는 마치 독자가 수수께끼를 푸는 학자가 된듯하다.

탈박제 작업

하나님은 사진에 담아둘 수 없고 성경에 가둬둘 수 없다. 그러나 하나님을 사진에만 모시고 성경에만 가두려는 자들이 있다. 저자는 우리가 그동안 하나님을 암기의 영역에서만 외워왔다는 것을 아쉬워한다. 본인도 그렇게 신앙생활을 해왔기에 더욱 하나님을 잘 알 수 있는 길로 우리를 초대한다.

실제 개신교는 칼빈과 종교개혁의 영향으로 교리문답과 신앙고백서를 아주 중요하게 생각한다. 물론 기독교의 기본 진리와 핵심과 요체를 담고 있고 성경에 근거하여 작성된 내용이기에 그 가치는 너무 소중하다. 그러나 이것이 성경이고 이것만이 법인 것처럼 주입해 온 게 사실다. 그 역사적인 배경과 치열한 전쟁 속에서 만들어지고 지켜져 온 것이게 그럴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 내용을 다 외우고 암기한다고 깊이 경험되는 것이 아니다. 물론 내가 생명 같이 기억하고 있어서 위기와 시험의 순간에 떠올라 승리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하나님은 암기를 넘어 이해로 다가올 때 더 실제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암기가 평면이라면 이해는 입체적인 것이다. 암기는 딱딱하고 답답할 수 있지만 이해는 부드럽고 자유하게 해준다.

그래서 저자는 하나님의 탈박제 작업을 시도한다. 이 말이 하나님의 신성을 폄훼하고 성품을 왜곡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신성을 높이고 성품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방신과는 비교할 수 없는 영원하고 초월적이며 인격적인 하나님을 보여준다. 이 작업을 통해 성경을 새롭게 볼 수 있고 하나님을 닮아가게 된다.

박제된 하나님으로만 배우게 되면 정적이고 고착될 수 있다. 그러나 탈박제하여 내가 읽고 느끼고 경험하면 동적이고 전율할 수 있다. 우리의 관점을 새롭게 하는 게 필요하다. 우리의 생각을 자극하여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 감동과 감격이 없이 익숙하기만 했던 하나님이라면 이런 작업을 통해 감동과 감격과 늘 새로운 하나님을 만날 수 있다.

탈박제 작업이 불경한 것이 아니다. 또한 한 번에 되는 것이 아니다. 성경을 대할 때마다 성경을 묵상할 때마다 우리는 새롭게 하나님을 만나고 우리를 새롭게 하시는 하나님을 마주한다. 내 굳어진 생각대로만 하나님을 알아가면 식상하고 만나려고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성경 속에서 이해하는 하나님이라면 늘 새롭게 만나고 싶어한다.

결론

오늘날도 고대 근동의 배경처럼 수많은 신들과 우상이 있다. 보이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지 보이는 것을 따라가는 시대이다. 고대에도 자기가 믿는 신을 눈에 보이게 만들었고 그 신이 실제 그 안에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 안에 거하시지 않고 그런 것을 초월하시고 또한 우리 안에 내주하시고 우리와 동행하시는 분이시다. 고대의 신들과는 차원이 다르다. 저자는 구약은 바로 그런 신관을 배격하고 하나님을 유일신이 아닌 오직 야웨 하나님으로 제시한다.

또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런 배경 속에서 하나님을 점점 알아가고 성장해간다. 저자는 이런 변화를 갈팔질팡에서 온고지순이라고 표현한다. 그렇다 믿음은 한 순간에 주입되지만 그 이후에는 변화하고 성장하고 도약한다. 저자가 보여주는 성경에 대한 이해와 하나님을 알아가는 방법을 따라간다면 우리의 믿음도 하나님만을 의지하고 성장하게 될 것이다. 하나님을 알아가는 것을 넘어 닮아가는 것이 우리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이 책은 그런 뭉클한 신앙고백을 할 수 있도록 우리를 도와준다.

방영민 목사 / <부전교회>

저작권자 © 미주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