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금의 상황에서 윤석열을 보면서 생각하게 되는 것이 많다. 가장 먼저 그는 정말 포악하다. 과거 그의 검사 시절 학력위조로 유명했던 신정아가 그의 취조를 받다가 오줌을 쌌다는 일화는 밝히기 어려운 사실이기도하지만 윤석열이 일반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낯이 두껍다고 생각했던 그녀까지도 그토록 무서워할 수 있게 만들었던 사람이라는 사실을 실감할 수 있다.
사실 윤석열 뿐만 아니라 인간 자체에 대해 절망하게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가 알아야 할 사실은 권력이란 그렇게 인간들을 사로잡아 인간성을 말살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권력을 가지면 모든 것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권력은 근본적으로 사람의 뇌를 변화시켜 스스로 자신의 변화를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 오만증후군이 다시 생각난다.
버클리대 심리학과 교수 켈트너 교수는 20년 간 연구를 통해 연구대상에게 권력을 줄 경우 그들이 마치 정신적 외상을 유발하는 뇌 부상을 당한 사람처럼 행동한다는 것을 보여줬다. 연구대상들은 더 충동적이 됐고, 위험에 대한 인지도가 떨어졌으며, 가장 중요하게는 역지사지(易地思之)를 할 능력이 하락했다.
영국의 외무부 장관이었던 신경학자 오웬과 그의 공동저자 조나단 데이비슨은 2009년 브레인 학술지에 실린 논문에서 이 장애를 ‘오만 증후군’(Hubris syndrome)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이 증후군을 “권력자, 특히 굉장히 성공적으로 특정 기간 동안 큰 견제 없이 권력을 누린 지도자에게 생길 수 있는 장애”라 정의했다. 권력은 환자의 공감능력을 모두 죽이는 종양과 같으며 오만 증후군의 14가지 의학적 증상이 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1. 자기 중요성 과장: 자신의 능력, 성취, 재능 등을 과도하게 과장하며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2. 특별함을 느끼는 경향: 자신이 특별한 사람만큼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야 한다고 믿습니다.
3. 타인으로부터의 과도한 찬사와 인정을 요구: 자신의 업적에 대해 지나치게 찬사를 받고 인정받기를 원한다.
4, 상대방을 착취하는 경향: 자신의 목표나 욕구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하거나 조종할 수 있다.
5. 공감 능력 부족: 다른 사람들의 감정이나 요구에 공감하지 못하고 이를 무시할 수 있다.
6. 타인을 경멸하거나 깔보는 태도: 타인을 자신보다 낮은 존재로 보고 경멸하거나 무시한다.
7. 상대방이 자신을 이해하고 인정해 주기를 기대: 다른 사람이 자신을 제대로 이해하고 인정해 주지 않으면 화를 내거나 불만을 가질 수 있다.
8. 자신이 항상 옳다고 믿는 경향: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이 항상 맞다고 확신하며, 타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으려 한다.
9. 과도한 경쟁의식: 다른 사람들과 경쟁에서 이기려고 하며, 승리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10.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 타인과의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관계를 얕게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11. 성취에 대한 집착: 성공이나 성과를 지나치게 중요시하며, 실패를 받아들이지 못할 수 있다.
12. 심리적 갈등과 불안: 자아 존중감이 매우 불안정하여, 작은 비판이나 실패에도 쉽게 상처받고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13. 타인의 인정에 의존: 자신이 타인의 인정 없이 존재할 수 없다고 느끼며, 이를 위해 지나치게 애쓰기도 한다.
14. 자기애적 행동과 태도: 자신을 특별하고 중요하게 여기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이를 반영하려는 경향이 있다.
윤석열을 필두로 그를 추종하는 모든 사람들의 특징이 오만 증후군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동시에 우리는 권력이 단순한 역동적인 지배 관계가 아니라 영적인 실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권력이라는 단어 자체에서 알 수 있듯이 권력을 가지거나 추구하는 모든 이들이 폭력적이 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권력은 정치판에서만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모든 영역에서 작동한다. 그런 의미에서 권력이 세상의 본질임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유치원 아이들까지 아파트 평수로 친구를 가르고, 고사리 만한 주먹을 휘둘러 서열을 만든다. 오웅진 신부가 윤석열에게 “용기를 내라. 사랑한다.”는 말과 함께 성서를 보낸 것도 오 신부 역시 권력에 함몰된 한 인간이며 그런 자들의 유유상종임을 보여준다. 종교 역시 권력으로부터 자유롭기가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오늘날 그리스도교는 권세가 되었다. 탄핵 국면을 맞아 바야흐로 우리는 권력에 의해 오만 증후군에 감염된 인간들을 보고 또 보고 있다.
특히 위의 14가지 증상은 모두 결과적으로 하나의 결론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그것이 바로 “남 탓”이다. 우리는 이 오만 증후군을 통해 권력이 세상의 본질임을 알 수 있다.
“어찌하여 너는 남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면서,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 네 눈 속에는 들보가 있는데, 어떻게 남에게 말하기를 '네 눈에서 티를 빼내 줄테니 가만히 있거라' 할 수 있겠느냐? 위선자야, 먼저 네 눈에서 들보를 빼내어라. 그래야 네 눈이 잘 보여서, 남의 눈 속에 있는 티를 빼 줄 수 있을 것이다.”
오만 증후군을 통해 우리는 예수님의 이 말씀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다. 당시 지도자들 역시 오만 증후군에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바리새파 사람들의 위선 역시 그들이 오만 증후군에 감염되었다는 증거다.
그렇다. 인간사는 모두 권력과 연관되어 있고, 권력을 가지게 되는 순간 인간성은 파탄 난다. 모든 문명이 희생의 체제가 되는 것은 모든 문명이 권력의 총화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성서에서 가장 중요한 말씀이 예수님의 이 말씀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너희가 아는 대로, 이방 민족들의 통치자들은 백성을 마구 내리누르고, 고관들은 백성에게 세도를 부린다. 그러나 너희끼리는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너희 가운데서 위대하게 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너희를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하고, 너희 가운데서 으뜸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너희의 종이 되어야 한다.”
이 말씀에서도 가장 중요한 말씀은 “그러나 너희끼리는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는 말씀이다. 여기서 너희들은 예수의 제자들이다. 다시 말해 그리스도인이라면 권력을 가져서도 추구해서도 안 된다는 말씀이다. 하나님 나라는 권력이 없는 나라다.
사실 이 말씀을 이해하기가 어렵다.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 경쟁이라는 힘의 체제 속으로 던져지기 때문이고, 권력 추구가 본능처럼 작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힘의 포기와 권력의 단념이야말로 그리스도교 신앙의 가장 현저한 특징이며 그것은 동시에 사랑의 속성이다. 희생양이 없는 새로운 세상인 하나님 나라는 이렇게 가능해진다. 복음이 왜 인류의 희망인지가 새롭게 부각되는 시점이다.
“너희 가운데서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모든 사람의 종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권력은 들을 수 있는 귀를 막거나 잘라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