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일하는 법은 배웠지만, 멈추는 법은 배우지 못했다. 성과는 많아졌지만, 그만큼 불안도 커졌다. 하루가 얼마나 ‘가득 찼는가’로 자신을 평가하고, 텅 빈 시간을 견디지 못한다. 생산성은 우리 시대의 새로운 윤리이자 종교가 되었다. 그러나 진짜 문제는, 우리가 무엇을 ‘생산성’이라 부르고 있는가이다. 이 글은 그 질문에서 출발한다.

생산성은 더 많이가 아니라 더 옳게 이다

세상은 우리에게 “더 많이” 하라고 재촉한다. 더 많이 공부하고, 더 많이 일하고, 더 많이 벌고, 더 많이 성취하라고. 그러나 이상하게도, 많아질수록 마음은 비어간다. 많음이 곧 의미였던 시대가 지나고, 이제는 의미를 잃은 시대가 되었다.

기독교적 생산성은 ‘얼마나 많이 했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향하고 있는가’의 문제다. 양이 아니라 방향, 속도가 아니라 목적이다. 일이 나를 위한 것이냐, 아니면 하나님의 나라를 향한 것이냐. 많이 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옳게 하는 것이 목표다. “오늘 내가 한 일 중, 무엇이 옳았는가?” 이 물음은 “오늘 내가 얼마나 바빴는가?”보다 훨씬 본질적이다.

세상의 생산성은 속도로 가늠하지만, 복음의 생산성은 방향을 잰다. 많음보다 옳음, 효율보다 의미. 이것이 바로 ‘덜 하지만 더 좋은’ 길이다. 옳게 일한다는 것은 결과를 줄이는 게 아니라, 일의 의미 속에서 다시 소명을 회복하는 일이다.

생산성은 더 빠르게가 아니라 더 깊게 이다

우리 시대는 ‘빨리’를 새로운 종교로 섬긴다. 빨리 배송되고, 빨리 처리되고, 빨리 성장해야 한다. 심지어 ‘빨리 회복하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속도는 덕목이 되었고, 기다림은 결함이 되었다. 그러나 속도를 높일수록 시야는 좁아지고, 관계는 얕아진다. 빨라질수록 우리는 서로의 얼굴을 덜 보게 되고, 마음의 밀도는 점점 옅어진다.

누군가 말했다. “모든 서두름은 탐욕이다.” 서두름은 단순한 성격의 문제가 아니라, 더 많이 얻고 더 앞서가려는 내면의 욕망이다. 우리는 효율을 좇다가 의미를 잃고, 결과를 쫓다가 사람을 놓친다. 속도의 세계에서 ‘깊이’는 언제나 가장 먼저 희생된다. 그러나 사랑은 깊이 속에서만 자란다.

예수님는 세상의 속도에 맞추어 살지 않으셨다. 더 많은 일을, 더 짧은 시간 안에 이루는 것이 목적이 아니었다. 그분은 길을 걷다 멈춰 한 사람을 바라보셨고, 외로워하는 이에게 다가가 말씀하셨다. 군중 보다 한 사람, 개인에게 더 귀를 기울이셨다. 그분의 걸음은 효율의 리듬이 아니라 사랑의 깊이였다.

깊어진다는 것은 단순히 멈추는 것이 아니라, 더 온전히 바라보는 것이다. 빨리 가는 대신 깊이 가는 것, 그것이 그리스도인의 속도 감각이다. 깊이는 낭비가 아니라 본질로 돌아가는 길이다.

생산성은 더 사랑하기 위해서이다

생산성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사랑이다. 우리는 더 많이 성취하기 위해 사는 게 아니라, 더 깊이 사랑하기 위해 산다. 사랑이 빠진 성취는 아무리 대단해도 공허하다. 효율로는 영혼을 움직일 수 없고, 진정성으로만 사람을 살릴 수 있다.

사랑이 중심이 될 때, 일은 다시 제자리를 찾는다. 학생을 가르치는 일도, 문서를 작성하는 일도, 회의나 청소조차도 누군가를 위한 선물이 될 수 있다. 그 순간 생산성은 기술이 아니라 덕목이 된다. 일의 가치는 속도가 아니라 사랑의 농도에서 결정된다.

결국 ‘좋은 일’이란 완성된 결과가 아니라, 누군가에게 생명을 불어넣는 관계다. 사랑은 효율보다 오래가고, 성취보다 깊이 남는다.

생산성을 따라다니는 바쁨은 열매가 아니라 병이다

바쁨은 한때 미덕이었다. 지금은 거의 신앙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복음의 언어로 보면, 바쁨은 열매가 아니라 병이다. 바쁨은 충성처럼 보이지만, 실은 불안의 또 다른 얼굴이다.

끊임없이 일하고, 멈출 줄 모르는 건 생산성이 아니라 불안의 증상이다. 쉼은 게으름이 아니다. 쉼은 하나님이 주신 ‘속도 조절 장치’다. 우리는 멈춤 속에서 회복되고, 쉼 속에서 다시 방향을 배운다.

예수님도 쉬셨다. 잠을 주무셨고, 외딴곳으로 물러나셨고, 제자들과 식탁을 나누셨다. 그분의 쉼은 사명을 미루는 시간이 아니라 사랑을 지속하기 위한 시간이었다. 그러니 우리가 쉰다고 세상이 무너지지 않는다. 오히려 그때 세상은, 하나님 손안에서 더 잘 돌아간다.

On Productivity

We have learned how to work but not how to stop. Our achievements have grown, yet so has our anxiety. We measure ourselves by how full each day feels and can no longer endure an empty hour. Productivity has become the new ethic and the quiet religion of our time. The real question, however, is what we mean when we call something “productive.” This reflection begins there.

Productivity is not about doing more but doing right

The world keeps telling us to do more. We are told to study more, to work more, to earn more, and to achieve more. Yet strangely, the more we add, the emptier our hearts become. The age that once equated abundance with meaning has become an age that has lost its sense of meaning altogether.

Christian productivity is not about how much we do but about what direction our work is moving in. It is a matter of orientation rather than quantity, of purpose rather than speed. The question is whether our work serves ourselves or moves toward the kingdom of God. The goal is not to do more but to do what is right. “What among my works today was right?” This question is far more essential than “How busy was I today?”

The world measures productivity by speed, but the gospel measures it by direction. Rightness matters more than abundance, and meaning matters more than efficiency. This is the way of doing less but doing better. To work rightly is not to reduce results but to rediscover one’s calling within the meaning of work.

Productivity is not about being faster but going deeper

Our age has made speed into its new religion. Everything must be delivered faster, processed faster, and grown faster. Even recovery must now happen quickly. Speed has become a virtue, and waiting has been treated as a flaw. Yet the faster we move, the narrower our sight becomes and the shallower our relationships grow. The quicker we rush, the less we see one another’s faces, and the thinner our hearts become.

Someone once said that all hurry is greed. Hurry is not simply a personality trait but the inner craving to gain more and to get ahead. We chase efficiency and lose meaning. We pursue results and lose people. In a world ruled by speed, depth is always the first thing sacrificed. Yet love grows only in depth.

Jesus did not live at the world’s pace. His purpose was not to do more in less time. He stopped on the road to look at one person and spoke gently to those who felt alone. He listened more closely to one person’s pain than to the demands of the crowd. His steps followed not the rhythm of efficiency but the rhythm of love’s depth.

To go deeper is not simply to stop but to see more fully. Going deep instead of going fast is the Christian sense of pace. Depth is not waste but the way back to what is essential. When we pause, we begin to feel the texture of the relationship. When we slow down, the truth comes into view.

Productivity exists for the sake of love

The purpose of productivity is ultimately love. We are not called to achieve more but to love more deeply. Accomplishment without love, no matter how great, is hollow. Efficiency cannot move a soul, but sincerity can give it life. When love becomes the center, work finds its proper place again. Teaching a student, writing a report, leading a meeting, or even cleaning a room can become a gift for someone. At that moment, productivity becomes a virtue rather than a skill. The value of work is not measured by speed but by the concentration of love within it. Good work is not a finished product but a relationship that gives life. Love endures longer than efficiency and leaves a mark deeper than achievement.

The Pursuit of Productivity Makes Busyness a Disease

Busyness was once a virtue, and now it has almost become a faith. Yet in the language of the gospel, busyness is not fruit but illness. It may look like devotion, but it is often another name for fear. Working without pause is not productivity but a symptom of anxiety. Rest is not laziness; it is God’s built-in regulator of speed. In stillness we are restored, and in rest we rediscover direction. Jesus also rested. He slept, withdrew to quiet places, and shared meals with his disciples. His rest was not a postponement of the mission but a way of sustaining love. When we rest, the world does not fall apart. In those moments, it often turns more faithfully in the mighty hands of God.

 이영길 교수 / <칼빈대학교>, '나는 홀가분하게 살고싶다' 저자.

저작권자 © 미주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