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릴 적부터 “정상” (Normal)이라는 단어를 끊임없이 들으며 자라왔다. “정상”이 되어야 한다는 말. 정상 체중, 정상 발달, 정상적인 가정, 정상적인 직업. 이 단어는 마치 우리 삶의 기준점처럼, 보이지 않는 자를 나누는 날카로운 칼처럼 작동해 왔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 보면, 정상이라는 단어는 애초부터 허구일 뿐이다.
토머스 레이놀즈 (Thomas E. Reynolds)가 말하듯, 정상은 현실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가진 자들이 만들어낸 신화일 뿐이다 (미국에서는 비장애인, 백인, 남성, 중산층 이상). 젊고, 건강하고, 아름답고, 생산적인 사람들의 몸을 기준으로 삼아 나머지를 결핍과 이상 (abnormal)으로 규정한 것이다. 그래서 그 기준으로 보면 장애는 결핍이고, 병든 몸은 실패이며, 노화는 두려움으로 다가온다. 사회는 이 허구를 ‘자연스러운 질서’처럼 포장하면서, 우리 모두를 정상의 테두리에 맞추려 애쓴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배제된 사람들, 즉 장애인과 병든 이들은 더 깊은 상처를 입는다.
문제는 교회도 이 거짓된 우상을 무비판적으로 따라왔다는 사실이다. 교회 안에서조차 장애는 종종 “고쳐져야 할 것” “극복해야 할 시련” 정도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성경은 정반대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존 스윈턴 (John Swinton)이 강조하듯, 성경은 우리를 낯설고 새로운 세계로 데려간다. 그곳에서는 말을 더듬는 모세가 하나님의 입이 되고, 약함 속의 바울이 능력의 증인이 되며, 상처 난 예수의 몸에서 구원이 흘러나온다. 정상의 기준은 그 앞에서 무너지고, 하나님은 부서진 몸과 실패한 인생을 통해서도 나라를 세워 가신다.
장애는 그래서 단순한 결핍이 아니다. 그것은 사회를 심판하는 거울이다. 레이놀즈 (Reynolds)는 장애를 “judgment”라 불렀다. 장애인이 사회에서 어떻게 대우받는지를 보면, 그 사회가 무엇을 진짜로 숭배하는지가 드러난다는 것이다. 만일 장애인을 주변부로 밀어내고 쓸모없다고 낙인찍는다면, 그것은 곧 그 사회가 능력과 생산성이라는 우상 앞에 무릎 꿇고 있다는 증거다. 장애는 이 우상을 폭로하고, 우리가 감추어둔 연약함을 비춘다. 그 순간, 세상은 판단받는다. 장애는 세상의 민낯을 보여주는 거울 (mirror)이 되어 줌으로 자신의 들보를 도무지 깨닫지 못하는 이들의 비춤이 되어준다 (마 7:3–5).
성경은 우리를 깨닫게 한다. 정상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단지 통계적 개념일 뿐이지, 성경적 개념이 아니다. 하나님 나라에서 중요한 것은 능력이나 생산성이 아니다. 바울이 말한 것처럼 우리는 모두 질그릇과 같은 존재다. 금이 가고 쉽게 깨질 수 있는 몸, 실패와 한계를 안고 사는 인생, 그러나 그 안에 하나님의 보화가 담겨 있기에 귀하다 (고후 4:7). 장애는 그 사실을 누구보다 선명하게 드러내는 증언이다.
우리가 장애를 바라볼 때, 그 안에서 하나님 나라를 비추는 창 (window)을 본다. 그 창은 우리의 익숙한 시야를 흔들고, 우리가 보지 못했던 세계를 열어 준다. 정상이라는 우상이 부서지고, 연약한 몸들이 중심에 자리하며, 서로 기대며 살아가는 새로운 질서가 열린다. 장애는 인간됨의 결핍이 아니라, 인간됨을 새롭게 정의하는 거울이다. 바로 그 거울 앞에서 우리는 깨닫게된다. 온전함은 자기 완결적 힘에서 나오지 않는다. 온전함은 부서진 몸, 상처 난 관계, 하나님 은혜에 기대어 사는 연약함 속에서만 드러난다.
장애는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 그러나 그 불편함은 우리를 하나님의 은혜 앞으로 이끄는 초대다. 정상이라는 허구를 버리고, 복음의 진실을 붙드는 초대다.
The Idol of Normalcy, Broken Before the Gospel
From childhood, we have been surrounded by the word normal. Normal weight, normal development, a normal family, a normal career. The word has functioned like a hidden line dividing people, a sharp blade that sorts human lives. Yet when we pause and reflect, we recognize a startling truth: the word normal is itself a fiction.
As Thomas E. Reynolds has argued, normalcy is not a reality but a myth created and sustained by those in power. Youth, health, beauty, and productivity are lifted up as the standard, and all else is measured as deficiency or deviation. From that perspective, disability becomes deficiency, illness becomes failure, and aging becomes something to be feared. Society disguises this myth as if it were the natural order, forcing everyone into the mold of “normal.” In the process, those exclude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ick, and the aging, carry deep wounds of alienation.
The deeper tragedy is that the church itself has often bowed to this false idol. Inside its walls, disability has too often been reduced to something to be fixed, or at best an unfortunate trial to be overcome. But Scripture tells a different story. As John Swinton reminds us, the Bible draws us into a strange new world. In that world, a stammering Moses becomes the mouthpiece of God. A weakened Paul becomes a witness of power. And above all, the scarred body of Jesus becomes the source of redemption. The criteria of normalcy collapse, and God establishes his kingdom through broken bodies and wounded lives.
Disability, therefore, is not simply a lack. It is a mirror of judgment. Reynolds calls disability a judgment. The way a society treats people with disabilities reveals what that society truly worships. If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cast aside as useless or burdensome, it is proof that the culture has bowed before the idols of productivity and efficiency. Disability unmasks these false gods and reflects back the vulnerability that we all try to hide. In this way, disability becomes a mirror that exposes the log in our own eye even as we are quick to notice the speck in another’s (Matthew 7:3–5).
Scripture awakens us to reality. Normalcy does not truly exist. It is nothing more than a statistical concept, and when elevated into an absolute standard, it becomes an illusion. In the kingdom of God, ability and productivity are not the measure of human worth. As Paul declared: “We have this treasure in jars of clay to show that this all-surpassing power is from God and not from us” (2 Corinthians 4:7). We are all fragile clay jars, bodies that crack and lives that fail, yet within us God has placed his treasure. Disability makes this truth visible in the clearest way.
When we look at disability, we see in it a window that reflects the kingdom of God. That window unsettles our familiar way of seeing and opens a world we had not imagined. The idol of normalcy is shattered, fragile bodies take their place at the center, and a new order emerges in which people lean on one another to live. Disability is not a deficiency of being human but a mirror that redefines humanity itself. And in front of that mirror, we come to realize this truth: wholeness does not come from self-sufficient strength. Wholeness appears only in broken bodies, in wounded relationships, and in the fragility that leans on the grace of God.
Disability unsettles us. But that very discomfort is an invitation, a call into God’s salvation. It is an invitation to abandon the illusion of normalcy and to cling instead to the broken truth of the gospel.
이영길 교수 / <칼빈대학교>, '나는 홀가분하게 살고싶다' 저자.
이글은 글쓴이의 허락을 받아 게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