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춘다는 것은 단순히 속도를 줄이는 일이 아니다. 그것은 생명의 리듬을 회복하는 첫 걸음이며, 세상의 광폭한 속도에 맞서는 가장 조용한 저항이다. 우리는 언제나 더 멀리, 더 많이, 더 빨리 나아가야 한다는 강박 속에 살아간다. 쉬는 법을 잊은 채, 앞으로 나아가는 일만이 살아 있음의 증거라 믿는다. 그러나 진정한 쉼은 더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힘이 아니라, 멈춤 그 자체에서 새로워지는 삶이다. 멈춤은 게으름이 아니다. 그것은 마음이 깨어나는 순간이다. 그때 비로소 우리는 알게 된다. 자신이 어디에 서 있는지, 그리고 무엇을 향해 달려왔는지를.
하지만 멈추면 곧바로 맞이하는 손님이 있다. 바로 지루함이다. 현대인은 이 귀한 손님을 감당하지 못한다. 지루함은 무능의 증거처럼 여겨지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은 낭비처럼 느껴지기 때운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 귀한 손님을 내버려둔채, 스마트폰을 만지고, 의미 없는 일을 찾아 자꾸 몸과 마음을 움직인다. 그러나 바로 그 순간, 우리는 삶의 가장 창조적인 시간의 여백을 잃는다.
지루함은 단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공백이 아니다. 그것은 새로움이 스스로 길을 찾아 피어나는 시간이다. 우리의 뇌는 쉬는 동안에도 일한다. 멈춤 속에서 작동하는 기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 DMN) 는 생각을 엮고, 기억을 재구성하며, 상상력을 키워낸다. 바로 그때, 마음은 자신을 되돌아보고 세상을 새롭게 본다. 예술가와 사상가들이 지루함을 친구로 삼았던 이유다. 그들은 지루함 속에서 들리는 미세한 속삭임을 따라갔고, 그 길 끝에서 혁신을 만났다.
일에 몰입할 때 활성화되는 ‘집행 네트워크(Executive Network)’가 외부의 목표를 향한 시스템이라면, DMN은 내면의 회복을 담당하는 네트워크다. 그것은 ‘성과’가 아니라 ‘의미’를 추구하고, ‘속도’가 아니라 ‘통합’을 향한다. 뇌과학자 마커스 라이클(Marcus Raichle)은 “뇌는 일할 때보다 쉴 때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멈춤은 에너지의 낭비가 아니라, 오히려 의미를 재생산하는 가장 적극적인 시간인 것이다.
이 신비한 작동은 인간의 창의성과 존재의 깊은 근원과도 이어져 있다. DMN은 자기성찰, 공감, 도덕적 판단, 미래 상상 등 인간다움을 구성하는 거의 모든 고등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므로 멈춘다는 것은 단순히 피로를 회복하는 일이 아니라, 인간다움을 되찾는 일이다. 지루함 속에서 우리의 뇌는 외부의 자극을 멈추고, 내면의 진실과 다시 연결된다.
심리학자 제롬 싱어(Jerome Singer)는 이를 ‘긍정적 몽상(positive constructive daydreaming)’이라 불렀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듯한 그 시간에, 마음은 자유롭게 떠돌며 새로운 사유를 낳는다. 그것은 도피가 아니라 생성이다. 우리가 의도적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을 때, 오히려 뇌는 더 적극적으로 작동하며, 그 속에서 새로운 통찰이 태어난다.
멈춤은 쉼의 시작이고, 지루함은 잠자고 있는 감각을 나도 모르게 깨우는 통로가 된다. 따라서 지루함은 피해야 할 적이 아니라, 함께 걸어가야할 동반자로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멈추어 서서 아무것도 하지 않을 때, 우리의 영혼은 숨을 고르고, 뇌는 새로운 길을 만들어 간다.
우리가 지루함과 기꺼이 머물며 그 여백 속을 산책할 때, 비로소 쉼은 우리 곁에 와 앉는다. 그때 쉼은 무의미한 멈춤이 아니라, 삶을 다시 고르게 흐르게 하는 깊은 리듬이 된다. 그것이 멈춤이 주는 귀한 축복이다.
저의 졸고, 『나는 홀가분하게 살고 싶다』 (2025)에 나오는 내용중 일부를 압축해서 다시 씀
When Stillness Awakens
To stop is not simply to slow down. It is the first step toward recovering the rhythm of life, the quietest form of resistance against the world’s violent speed. We live under the tyranny of “more,” always striving to go farther, do more, and move faster. We forget how to rest and believe that only forward motion proves that we are alive. Yet true rest is not the strength to go further, but a life renewed in the very act of stopping. Stopping is not laziness; it is the awakening of the heart. Only then do we begin to see where we stand and what we have been running toward.
But when we stop, a guest soon arrives. It is boredom. Modern people can hardly bear this precious visitor. Boredom feels like failure, and time without activity seems like a waste. So we drive the guest away by scrolling on our phones, searching for distractions, and keeping our bodies and minds in constant motion. But in doing so, we lose the most creative space in life, the quiet margin where meaning grows.
Boredom is not an empty void. It is the hour when something new finds its own way to bloom. Even in rest, the brain continues to work. In moments of stillness, the Default Mode Network (DMN) comes alive, weaving thoughts together, reorganizing memory, and nurturing imagination. It is then that the mind turns back upon itself and sees the world anew. Artists and thinkers have long befriended boredom for this reason. They followed the faint whispers within it, and at the end of that path, they found innovation.
If the Executive Network, active when we work, is the system aimed at external goals, the DMN is the network of inner restoration. It seeks meaning rather than achievement, integration rather than speed. Neuroscientist Marcus Raichle once observed that “the brain uses more energy at rest than when it is working.” Rest, then, is not the waste of energy; it is the most active time for the generation of meaning.
This mysterious operation connects to the deep source of our creativity and our humanity. The DMN governs almost every higher human function, including self-reflection, empathy, moral awareness, and imagination. To stop, therefore, is not merely to recover from fatigue; it is to recover what it means to be human. In boredom, the brain ceases to chase external stimuli and reconnects with the quiet truth within.
Psychologist Jerome Singer called this "positive constructive daydreaming." In that seemingly idle time, the mind drifts freely and gives birth to new ideas. It is not escape but creation. When we choose to do nothing, the brain works most deeply, and from that stillness, new insight is born.
Stopping is the beginning of rest, and boredom becomes the path that quietly awakens our sleeping senses. Thus boredom is not an enemy to be avoided, but a companion to walk alongside. When we stand still and allow ourselves to do nothing, the soul catches its breath, the brain finds new pathways, and life begins to move again, calmly, evenly, with rhythm restored.
When we linger with boredom, strolling through its quiet space, rest comes to sit beside us. Then the rest is no longer a pause without meaning, but a deep rhythm that lets life flow smoothly again. That is the precious blessing of stopping.
이영길 교수 / <칼빈대학교>, '나는 홀가분하게 살고싶다'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