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Health the Absence of Problems or the Presence of Love?

우리는 흔히 건강을 병이나 질병이 없는 상태로 정의한다. 혈압이 정상이면 건강하고, 아프지 않으면 괜찮다고 말한다. 그러나 성경은 건강을 그렇게 단순하게 보지 않는다. 성경의 건강은 결함이 없는 몸이 아니라, 하나님과, 타인과, 자기 자신이 바른 관계를 맺고 있는 상태, 곧 “샬롬”의 상태다. 폴 틸리히 (Paul Tillich)는 이를 이렇게 설명했다.

“건강이란 단순히 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하나님·자기·세계와 올바른 관계를 맺고 있는 존재의 상태다.” 즉, 건강은 생리학적 완벽함이 아니라 존재론적 관계의 조화인 것이다.

예수님의 삶은 그 사실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부활하신 예수님는 상처 없는 완벽한 몸으로 제자들 앞에 서지 않으셨다. 오히려 그분은 손과 옆구리의 상처를 그대로 지닌 채 나타나셨다. 그 상처는 실패의 흔적이 아니라 사랑의 자취, 곧 영광의 표식이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성경이 보여주는 가장 온전한 인간은 상처를 지닌 분이었다. 그분의 상처는 단지 육체의 흉터가 아니라, 인류를 품은 사랑의 흔적이었다. 그 상처 속에 인류의 구원이, 하나님의 연민이, 그리고 인간의 회복이 함께 새겨져 있었다.

약함의 신학: 의존의 은총

현대 사회는 자립을 능력으로, 의존을 결함으로 여긴다. 그러나 성경이 보여주고 있는 세계는 약함은 결함이 아니라 진실로 자신을 드러내는 자리다. 사도 바울은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고후 12:9)라며, 약함을 숨기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약함 속에서 하나님의 능력이 드러난다고 고백했다.

이와 관련해 칼 바르트(Karl Barth)는 인간의 실존을 “하나님께로의 의존(Dependence upon God)”으로 정의했다. 우리가 자립하려는 순간, 우리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끊고 스스로 하나님이 되려 한다. 그러나 약함은 인간이 하나님을 향해 자신을 열 수 있는 자리이다. 그 자리에서 우리는 자립의 오만에서 하나님께 기대는 법을 배워 간다. 따라서 건강이란 혼자 견디는 힘이 아니다. 하나님께 기대는 용기, 곧 의존할 자유다.

건강의 우상: 완벽의 신화와 인간의 신격화

오늘날 우리는 ‘웰니스(wellness)’라는 이름으로 완벽한 몸, 완벽한 식단, 완벽한 삶을 추구하려한다. 그러나 그 안에는 인간이 자기 몸을 숭배의 대상으로 만드려는 오래된 유혹이 숨어 있다.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는 근대 사회를 “규율의 신체(disciplinary body)”라고 불렀다. 몸은 더 이상 존재의 선물이 아니라, 성과와 통제의 도구가 되었다. 건강은 선물이 아니라, 비교와 경쟁의 언어로 바뀌었다.

웰니스가 신화처럼 군림하는 사회에서, 상처 입은 사람은 곧 결함 있는 존재로 취급된다. 몸이 불완전하거나 마음이 지친 사람은 뒤로 밀려난다. 이런 세상에서 약함은 부끄러움이 되고, 상처는 감춰야 할 결핍이 된다. 그러나 바로 그 자리에, 복음은 전혀 다른 이야기를 들려준다.

상처의 신학: 하나님의 영광은 여전히 못 자국 속에 있다

상처는 단순한 결핍이 아니라, 사랑의 증언이자 기억의 신학이다. 예수님의 상처는 고통의 끝이 아니라, 하나님이 세상을 포기하지 않으셨다는 선언이었다. 그분의 상처 속에 인류의 고통이 들어왔고, 그 상처를 통해 구원이 흘러나왔다.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은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에서 “하나님은 고통을 멀리서 관찰하지 않으신다. 그분은 십자가에서 인간의 고통을 자기 안으로 품으신다”고 말했다. 상처는 하나님의 부재가 아니라, 하나님의 현존의 증거다. 그분은 능력으로 세상을 구원하지 않고, 약함으로 세상을 안으신다.

상처는 우리에게 공감의 언어를 가르친다. 고통을 겪은 사람만이 타인의 눈물을 이해할 수 있다. 그때 상처는 부끄러운 흔적이 아니라 사랑의 언어, 공동체의 교사가 된다. 17세에 다이빙 사고로 전신이 마비된 Joni Eareckson Tada가 고백했듯, “고난은 나 자신이 누구인지, 그리고 내가 얼마나 예수를 필요로 하는지를 끊임없이 가르쳐주는 하나님의 교과서다.” 그 학교에서 우리는 통증을 피하는 법이 아니라, 그 안에서 사랑을 배우는 법을 익힌다. 그곳은 신음이 기도가 되고, 연약함이 은혜로 바뀌는 자리다. 그 학교를 통과한 사람만이 타인의 고통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는 상처를 통해 세상을 다시 보고, 고통 속에서도 하나님의 마음을 배운다.

건강은 상처의 부재가 아니라 사랑의 충만

건강이란 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사랑할 수 있는 상태다. 예수님의 상처가 영광이 되었듯, 우리의 상처도 언젠가 누군가를 살리는 통로가 될 수 있다. 그 상처를 통해 흐르는 사랑이야말로, 이 시대가 잃어버린 진짜 치유의 얼굴이다.

건강으로 표현되는 온전함은 완벽의 결과가 아니라, 사랑의 완성이다. 상처가 사라질 때가 아니라, 상처가 사랑으로 변할 때이다. 바로 그때 우리는 비로소 건강한 인간, 곧 하나님의 형상(Imago Dei) 으로 회복된다.

-----

Note: 앞서 올린 “정상 (Normal)이라는 우상, 복음 앞에 무너진다”의 글은 “장애”라는 주제의 강의 이틀 후, 강의 내용을 중심으로 쓴 것이다. 지금 여기에 올리는 글은 다음 주 화요일 “건강”이라는 주제의 강의를 앞두고 준비하며 적은 글이다.

Photo Credit - Kintsugi: The Beauty of Brokenness
Photo Credit - Kintsugi: The Beauty of Brokenness

 

Is Health the Absence of Problems or the Presence of Love?

Redefining What It Means to Be Healthy

We often define health as the absence of disease or illness. If our blood pressure is normal and we feel no pain, we assume we are fine. But Scripture presents a different understanding. In the biblical view, health is not the perfection of the body but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with others, and with oneself. This is the condition the Bible calls shalom. Paul Tillich once wrote, “Health is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but the state of being in right relationship with God, with oneself, and with the world.” In other words, health is not physiological perfection but the harmony of existence rooted in right relationship.

The life of Jesus reveals this truth vividly. When the risen Christ appeared before His disciples, He did not come with a flawless, unblemished body. He came bearing the wounds in His hands and side. Those scars were not marks of failure but traces of love, the signs of glory.

Paradoxically, the most whole human ever to live was the One who bore wounds. His scars were not merely physical injuries but the imprints of divine compassion. Within those wounds were written humanity’s salvation, God’s mercy, and the restoration of creation itself.

The Theology of Weakness: The Grace of Dependence

Modern culture celebrates self-reliance and views dependence as a deficiency. But Scripture presents a radically different vision, one in which weakness is not a flaw but the place where truth is revealed. The Apostle Paul declared, “My grace is sufficient for you, for My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2 Corinthians 12:9). Paul did not hide his frailty; he embraced it, knowing that God’s strength shines most clearly through human weakness.

Karl Barth described human existence as “dependence upon God.” Whenever we strive to be self-sufficient, we sever our relationship with God and attempt to take His place. Yet weakness opens us again toward God. It becomes the place where we learn to lean, to trust, and to depend. In this light, health is not the power to endure alone but the courage to depend, the freedom to rely on grace.

The Idol of Health: The Myth of Perfection and the Deification of Humanity

Today, under the banner of wellness, we chase after perfect bodies, perfect diets, and perfect lives. Yet hidden within this pursuit lies the ancient temptation to worship ourselves. Michel Foucault called modern society a “disciplinary body,” a culture that turns the human body from a gift of existence into an instrument of control and achievement. Health is no longer received as a gift but has become a language of comparison and competition.

In a culture where wellness reigns as myth, the wounded are seen as defective. Those whose bodies are limited or whose minds are weary are pushed to the margins. In such a world, weakness becomes shame, and scars become something to hide. Yet it is precisely here that the gospel speaks a different word.

The Theology of the Wounded: God’s Glory Still Dwells in the Nail Marks

A wound is not simply a lack; it is a testimony of love, a theology of remembrance. The wounds of Jesus were not the end of suffering but the declaration that God has not abandoned the world. Into those wounds entered the pain of humanity, and through those wounds flowed redemption.

Jürgen Moltmann, in The Crucified God, wrote, “God does not observe human suffering from a distance; He takes it into Himself on the cross.” A wound, then, is not proof of God’s absence but the mark of His presence. God does not redeem through power but through weakness. The nail marks of Jesus are the radiant paradox of divine glory, proof that pain can become the place where God dwells.

Wounds teach us the language of empathy. Only those who have suffered can truly understand another’s tears. Then, a scar becomes not a mark of shame but a language of love, a teacher of community.

As Joni Eareckson Tada, who became quadriplegic at seventeen after a diving accident, has said, “Suffering is the textbook that keeps teaching me who I really am, and how much I need Jesus.” Through her pain, she discovered that her wheelchair was not a prison but a classroom of grace. In that classroom, she did not learn how to escape pain but how to love within it. It is the place where groaning becomes prayer and weakness turns into grace. Those who have passed through that school no longer fear the suffering of others. They see the world through their wounds, and there, they glimpse the heart of God.

Wholeness Is Not the Absence of Wounds but the Fullness of Love

Health, in the truest sense, is not freedom from illness but the capacity to love in the presence of God. Just as the scars of Jesus became His glory, our wounds too can become channels of healing for others. Through those scars flows the love this wounded world has forgotten, the true face of healing.

Wholeness is not the product of perfection but the fruit of love. It is not when the wound disappears but when the wound is transformed by love. And in that transformation, we recover what it means to be truly human, the image of God, the Imago Dei.

-----

Note: The previous post, “The Idol of Normalcy, Broken Before the Gospel,” was written two days after my capstone class lecture on disability, drawing from the reflections shared in class. The piece I’m sharing today was written in preparation for next Tuesday’s lecture on health.

이영길 교수 / <칼빈대학교>, '나는 홀가분하게 살고싶다' 저자.

저작권자 © 미주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