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0회 미주코스타 컨퍼런스 성료… ‘샬롬’ 주제로 한인 청년 700여명 참여

2025' 미주코스타 컨퍼런스 전체 예배에서 찬양하고 있는 참가자들. @ 사진 강동인 간사(KOSTA/USA)
2025' 미주코스타 컨퍼런스 전체 예배에서 찬양하고 있는 참가자들. 세대와 지역을 초월한 이들이 한자리에 모여  ‘샬롬’의 주제 아래 함께 부르짖는 찬양이 예배당을 가득 채웠다. @ 사진 강동인 간사(KOSTA/USA)

【시카고= 최병인 기자】 북미 한인 청년 복음 운동의 대표적 플랫폼인 '미주코스타(KOSTA/USA)'가  6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시카고 휘튼칼리지(Wheaton College)에서 제40회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3박 4일간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번 대회의 주제는 ‘샬롬(Shalom)’이다. 기후 위기와 전쟁 세대 갈등과 분열, 그리고 불안정한 정치 현실 속에서 진정한 평화란 무엇인가를 묻는 시대적 질문에 신앙으로 응답하고자 마련된 자리였다.

올해 대회에는 미국 전역과 캐나다, 브라질 등지에서 약 700여 명의 청년들이 참석했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과 공동체 안에서의 나눔, 코칭과 기도 등을 통해 ‘하나님이 주시는 샬롬’이 무엇인지 깊이 성찰하며, 각자의 삶 속에 실현할 방향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체 집회에는 김정아 교수, 김재우 선교사, 류인현 목사, 박영호 목사, 배덕만 교수, 배헌석 목사, 원동철 전도사가 강사로 나서 말씀을 전했다. 각자의 삶과 사역의 현장에서 체득한 하나님의 평화를 바탕으로 청년들에게 공동체와 시대를 향한 신앙적 응답을 독려했다. 더불어 다양한 주제의 세미나와 성경공부, 라이프 코칭이 한국어와 영어로 진행되었다. 

마지막 파송 예배에서는 참가자들로 구성된 합창단이 ‘내 삶의 찬양되시는 주’를 찬양하며 이번 참가의 의미를 깊이 있게 되새기고 감사의 마음을 함께 나누는 시간으로 마무리했습니다. @ 사진 강동인 간사(KOSTA/USA)

대회 마지막 날, 배헌석 목사는(앤아버소망교회)는 팔복을 중심으로 설교하며 “복은 환경의 결과가 아니라 하나님 임재 안에서 시작되는 본질적 상태”라고 강조했다. 그는 “세상은 감정적이고 즉흥적인 반응(reactive)으로 가득하지만 신앙인은 하나님 앞에서 책임 있는 응답(responsive)으로 살아가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배 목사는 “역사란 도전과 응답의 연속”이라며 단지 상황에 밀려드는 반사적 리액션이 아니라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믿음의 리스폰스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예수께서 산상수훈을 통해 선포하신 팔복은 단순한 윤리적 교훈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 백성으로서의 정체성과 실천의 지표임을 강조했다.

그는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라는 말씀을 인용하며 "이는 무기력한 상태가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철저한 의존의 시작이며 그 출발이 천국을 향한 문이 된다"고 풀이했다. 이어 “애통은 감정의 분출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드리는 신앙적 탄식이며 그 애통 속에서만이 참된 위로가 임한다”고 설명했다.

배헌석 목사(앤아버소망교회)는 마지막날 설교에서 책임있는 응답의 삶을 강조했다. @ 사진 강동인 간사(KOSTA/USA)
배헌석 목사(앤아버소망교회)는 마지막날 설교에서 책임있는 응답의 삶을 강조했다. @ 사진 강동인 간사(KOSTA/USA)

또한 온유, 의를 갈망함, 극률, 마음의 청결, 화평, 의를 위한 박해까지 팔복의 흐름을 따라가며, 이는 단절된 목록이 아니라 ‘위로부터 세상으로’ 흘러가는 순차적 영성의 길이라고 정의했다.

배 목사는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평안이 단지 개인 내면의 위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와 사회, 세계를 향한 평화로 확장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그는 이를 샬롬 위드인(Shalom Within)’에서 ‘샬롬 비욘드(Shalom Beyond)’로 나아가는 신앙의 여정  이라 명명했다. 그는 “진정한 대안은 ‘오직 예수’”라며 “십자가를 삶의 중심에 둘 때만이 불완전한 인생이 하나님의 완전하심 속에 온전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회 마지막 시간 성찬예식을 거행하고 있다. @  강동인 간사(미주코스타)
대회 마지막 시간 성찬예식을 거행하고 있다. @  강동인 간사(KOSTA/USA)

대회 마지막 시간은 성찬예식으로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말씀 앞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나누며 세상 속에서 샬롬의 통로가 되겠다는 다짐을 나눴다. 어느 누구도 홀로 설 수 없는 시대 신앙 공동체의 연대는 더욱 깊고 절실하게 다가왔다.

이번 코스타 컨퍼런스에서는 떼제 기도 시간을 가졌다. 떼제 기도회에서 참가자들은 십자가 앞에 무릎 꿇고 찬양과 말씀 묵상, 침묵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을 깊이 되새겼습니다. 특히 ‘하나님께 하고 싶은 말’을 담은 짧은 노트를 십자가에 붙이며 함께 기도하는 시간을 가졌고 마지막에는 찬양 속에 하나님께서 이루어가시는 샬롬을 기억하는 시간을 가졌다. @ 사진 강동인 간사(KOSTA/USA)
이번 코스타 컨퍼런스에서는 떼제 기도 시간을 가졌다. 떼제 기도회에서 참가자들은 십자가 앞에 무릎 꿇고 찬양과 말씀 묵상, 침묵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을 깊이 되새겼습니다. 특히 ‘하나님께 하고 싶은 말’을 담은 짧은 노트를 십자가에 붙이며 함께 기도하는 시간을 가졌고 마지막에는 찬양 속에 하나님께서 이루어가시는 샬롬을 기억하는 시간을 가졌다. @ 사진 강동인 간사(KOSTA/USA)

40주년을 맞은 이번 미주코스타 컨퍼런스는 북미 지역의 한인 청년 복음 운동의 방향성과 정체성을 더욱 새롭게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치열한 현실 속에서도 하나님의 샬롬을 붙들고 세상을 향한 대안으로 살아가려는 이들의 걸음은 내년에도 계속될 것이다.

 

저작권자 © 미주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