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단위일 뿐, 전혀 다른 가치였다

James Tissot (Nantes, France, 1836–1902, Chenecey–Buillon, France). Judas Goes to Find the Jews (Judas va trouver les Juifs), 1886–1894. 
James Tissot (Nantes, France, 1836–1902, Chenecey–Buillon, France). Judas Goes to Find the Jews (Judas va trouver les Juifs), 1886–1894. 

같은 단어, 같은 경제 단위라면 같은 경제 가치를 갖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같은 시대일지라도 지역에 따라 다른 가치를 보일 수 있다. 하물며 다른 시대,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는 같은 단어의 경제 가치는 전혀 같을 수 없다. 그런데 "예수의 몸값은 출애굽 시대 종의 몸값인 30세겔"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 주장에 대해 살펴보자. 팩트체크: 예수의 몸값 '30세겔'은 노예 한 사람의 몸값이라는 주제와 관련된 두 번째 글이다.

 

예수의 몸값 은 삼십은 출애굽 시대 종의 몸값?

인터넷을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내용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그 가운데는 주석이라는 이름의 책도 출처로 나온다. 관련 내용을 옮겨 본다.

 

대제사장과 했던 흥정으로는 은 30을 받고 넘겨주기로 한 것인데 은 30이란 출 21:32 에 보면 그 당시 종의 몸값이었으므로 스승 되신 예수님을 종 그 이상의 존재 가치가 없는 자로 무시해 버릴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유다가 예수를 넘겨주기로 하고 받은 돈은 은30 세겔이다. 출 21:32에 의하면 황소가 남의 노예를 죽였을 때 은 삼십 세겔을 배상하도록 되어있었다. 따라서 예수는 노예의 값어치에 불과한 적은 액수로 불의한 자들의 손에 거래된 것이다.

혹자는 이렇게 적은 액수에 거래되었다는 것은 믿을 수 없으며, 이것은 단지 '그들은 은 삼십으로 그를 팔았다'는 슥 11:12의 예언을 자구적으로 맞추기 위해 그 액수의 양을 축소하여 기술한 것이라고 한다(Meyer). 그러나 이것은 무리한 해석인 듯하며 오히려 그 당시 공회와 유다 양자간에 예수를 노예 정도의 하찮은 존재로 취급하고 멸시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Robertson). 

"은 30세겔"을 두고 노예 한 사람의 몸 값이라 해석하는 이들 가운데는, 그 근거로 출애굽기 21:32절을 내세운다. 그러나 이것은 틀렸다. 과도한 시대착오이다. 

이런 질문이 이어진다. 왜, 예수 시대 노예 몸값을 말하면서 출애굽기를 근거를 사용하는 것일까? 출애굽 광야에서의 은의 가치와 예수 시대 로마제국의 은의 가치가 동일하다고 확신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일까? 유대인 사이에 균일한 노예 몸값이 지켜졌다고 보는 것일까? 예수 시대 고대 팔레스타인의 주민은 율법이 규정한 것을 곧이 곧대로 다 지키고 살았다고 보는 것일까?

 

출애굽 시대 은돈 30의 가치

참고 구절(슥 11:12-13) 스가랴 선지자는 예언의 품삯을 요구했다. 그때 유다 백성들은 스가랴에게 은돈 30을 주었다. 여호와께서는 스가랴에게 그 은돈 30을 토기장이에게 던지라고 말씀하셨다. "그들은 내 몸값으로 은돈 30을 달아 주었다. ...그 돈은 토기장이에게 던져 줘라! .." 

은돈 30은 구약시대에 종 1명의 값이었다(출 21:32). 이것은 가장 낮은 액수로 모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데, 예언자 스가랴에 대한 백성들의 과소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를 보여 준 것이었다. 

이것은 또한 예수님이 가룟 유다에 의해 은돈 30에 팔릴 정도로 부당하게 대우받으실 것을 미리 보여 준 것이었다(마 26:15).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이 적들에게는 은돈 30정도로 하찮게 취급되었지만 그 가치를 아는 자들에게 그것은 계산할 수 없을 정도로 귀한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유다 백성이 정한 고가(품삯)가 너무 불손하고 부적당하니 토기장이에게 던지라고 하셨던 것 역시 그리스도에게 그대로 성취되었다. 주님을 판 유다는 은돈 30을 성전에 던졌고 대제사장은 그 은돈들을 주워 토기장이의 밭을 사서 나그네의 묘지로 삼았다(마 27:5-10).

위의 설명에서 "주님을 판 유다는 은돈 30을 성전에 던졌고 대제사장은 그 은돈들을 주워 토기장이의 밭을 사서 나그네의 묘지로 삼았다"며 언급한 성경 본문은 마태복음 27:10절이다. 아래와 같다.

이에 선지자 예레미야로 하신 말씀이 이루었나니 일렀으되 ‘저희가 그 정가된 자 곧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정가한 자의 가격 곧 은 삼십을 가지고 토기장이의 밭 값으로 주었으니 이는 주께서 내게 명하신 바와 같으니라’ 하였더라 (마태27:10).

예레미야에 나오는 관련된 본문도 살펴보자. 아래와 같다.

예레미야가 가로되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였느니라 이르시기를 보라 네 숙부 살룸의 아들 하나멜이 네게 와서 말하기를 너는 아나돗에 있는 내 밭을 사라 이 기업을 무를 권리가 네게 있느니라 하리라 하시더니 여호와의 말씀같이 나의 숙부의 아들 하나멜이 시위대 뜰 안 내게로 와서 이르되 청하노니 너는 베냐민 땅 아나돗에 있는 나의 밭을 사라 기업의 상속권이 네게 있고 무를 권리가 네게 있으니 너를 위하여 사라 하는지라 내가 이것이 여호와의 말씀인 줄 알았으므로 내 숙부의 아들 하나멜의 아나돗에 있는 밭을 사는데 은 십칠 세겔을 달아 주되”. 예레미야가 토지를 구입한 일은 훗날 바벨론 유수 이후에 백성이 다시 이스라엘 땅으로 돌아와 가옥이나 토지매매가 다시 이루어질 것에 대한 예표가 되었다. (예레미야32:15).

아무리 보아도 여기 예레미야서에 기록된 말씀이 마태복음에 인용된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마태의 인용문은 스가랴서에서 그 출처를 찾아볼 수 있다.

​“내가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가 좋게 여기거든 내 고가를 내게 주고 그렇지 아니하거든 말라. 그들이 곧 은 삼십을 달아서 내 고가를 삼은지라.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그들이 나를 헤아린바 그 준가를 토기장이에게 던지라 하시기로 내가 곧 그 은 삼십을 여호와의 전에서 토기장이에게 던지고(스가랴11:12-13).

 

James Tissot (Nantes, France, 1836–1902, Chenecey–Buillon, France). The Kiss of Judas (Le baiser de Judas), 1886–1894.
James Tissot (Nantes, France, 1836–1902, Chenecey–Buillon, France). The Kiss of Judas (Le baiser de Judas), 1886–1894.

같은 단위(단어), 다른 가치

위 비전 성경사전의 설명에 담겨 있는 성경 구절을 보자. "소가 만일 남종이나 여종을 받으면 소 임자가 은 삼십 세겔을 그의 상전에게 줄 것이요 소는 돌로 쳐서 죽일지니라(출 21:32)." 따라서 "은돈 30은 구약 시대에 종 1명의 값이었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먼저, 이 본문에 나오는 은삼십 세겔은 가해자인 소 임자가 상해를 입은 남종이나 여종의 주인에 대한 배상액일 뿐이다. 남종이나 여종의 몸값이 아니다.

게다가 "구약 시대"라는 표현도 적절하지 않다. 아브라함 시대와 출애굽 광야 시대, 말라기 시대를 모두 하나의 틀로 보거나 동일한 물가 체제로 보는 것은 일반화의 오류일 뿐이다.

출애굽기 21:32에서 언급된 은돈 30의 가치에 대해 살펴보자. 예수 시대에 얼마 정도로 해석할 수 있을까? 요즘 시대 학자는 아니지만, 예레미야의 해석을 언급해본다. 그는 은돈 30을 1500~2000 데나리온 정도로 추론한다. 그의 이야기를 따라가 보자.

 

미슈나 (M.B.K. 4:5)는 노예의 가격을 4분의 1 마네에서 100 마네 사이로 언급하고 있다(마네는 100 데나리온으로 계산된다). - 요아킴 예레미아스, 예수 시대의 예루살렘: 신약 시대의 경제 및 사회적 조건에 대한 조사, 필라델피아: 포트리스 출판사, 1969년, 347쪽.

The Mishnah (M.B.K. iv.5) mentions a price for a slave of between a quarter of a mina and one hundred minas((reckoning the mina at one hundred denarii) - Joachim Jeremias, "Jerusalem in the Time of Jesus : An Investigation into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during the New Testament Period."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69, 347.

예레미아스가 언급한 미슈나 구절은 아래와 같다.

사람을 들이받아 죽인 소: 그 소가 위험하다고 증명된 경우 [주인은] 배상금을 지불해야 하고, 그 소가 무해했다면 배상금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 두 경우 모두 소는 사형을 당해야 한다. 아들이나 딸을 죽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남자 노예나 여자 노예를 들이받았다면, 그 노예가 마네의 가치가 있든, 아니면 데나리온만큼의 가치도 없든 상관없이 주인은 30 셀라를 지불해야 한다. - 미슈나 바바 카마 4:5

An ox that gored a person and he died: If it was an attested danger [its owner] must pay the ransom, If it was harmless he is exempt from paying the ransom. In both cases the ox is obligated for the death penalty. So too [if it killed] a son or a daughter. If it gored a male slave or a female slave he pays thirty sela, whether [the slave] was worth a maneh or not even worth a dinar. - Mishnah Bava Kamma 4:5

M.B.K. 4:5에서 추론할 수 있는 평균 15-20 마네의 가격은 요세푸스에 의해 확인된다. 창세기 37:28에서 요셉의 형제들은 그를 은 20개 (세켈)에 팔았다. 칠십인역(LXX, 창세기 37:28: εἴκοσιν ἀργύρια)에 근거해 요세푸스는 20 마네를 인용한다 (유대 고대사 2.33), 이는 자연스럽게 1세기 말 당시 그의 시대의 노예의 일반적인 가격을 나타낸다- 요아킴 예레미아스, 예수 시대의 예루살렘: 신약 시대의 경제 및 사회적 조건에 대한 조사, 필라델피아: 포트리스 출판사, 1969년, 347쪽.

The average price of 15-20 minas which we can deduce from M.B.K. iv.5 is confirmed by Josephus: in Gen. 37.28 Joseph's brothers sold him for twenty pieces of silver (seqel); on the basis of LXX (Gen. 37.28: €IKOGL xpvacov!) Josephus quotes 20 minas (Ant. 2.33), which naturally represents the current price of slaves in his time, i.e. the end of the first century AD. 

예레미아스가 언급한 창세기 37장 28절(그 때에 미디안 사람 상인들이 지나가고 있는지라 형들이 요셉을 구덩이에서 끌어올리고 은 이십에 그를 이스마엘 사람들에게 팔매 그 상인들이 요셉을 데리고 애굽으로 갔더라.)에 대한 요세푸스의 해석은 아래와 같다.

그래서 그들은 요셉을 구덩이에서 끌어내어 상인들에게 20파운드(εἴκοσι χρυσῶν)에 팔았다(This, therefore, was resolved on; so they drew Joseph up out of the pit, and sold him to the merchants for twenty pounds... (역자주, The Septuagint have twenty pieces of gold; the Testament of Gad thirty; the Hebrew and Samaritan twenty of silver; and the vulgar Latin thirty. What was the true number and true sum cannot therefore now be known.)) - Flavius Josephus.  translated by William Whiston, The Antiquities of the Jews, II. C 3.3. https://penelope.uchicago.edu/josephus/ant-2.html, Flavius Josephus. Translated by. William Whiston, A.M. Auburn and Buffalo. John E. Beardsley. The Works of Flavius Josephus. 1895.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3Atext%3A1999.01.0146%3Abook%3D2%3Asection%3D32#note1

Josephus, Flavius 37-100. "Flavii Iosephi Opera." Flavii Iosephi Opera 1887.
Josephus, Flavius 37-100. "Flavii Iosephi Opera." Flavii Iosephi Opera 1887. 89.

 

정리하는 글

출애굽 시대의 광야 공동체에는 실물 화폐가 없었다. 경제적 가치를 표현하는 기호나 단위 같은 것이 있었다. 고대 이집트 제국의 경우도 경제 가치 용어는 같았지만, 그것이 표현하는 은의 무게는 달라졌다. 고대 이집트 신왕국에서는 무게 단위로 데벤(약 90그램)과 1/10에 해당하는 키트(께데트) 등을 사용했다. 노예의 몸값은 2데벤, 4데벤 등 다양했다. 흔히 구약의 세겔을 11.4그램으로 퉁치는데, 그 시대의 노예는 20세겔, 40세겔 등 다양한 값으로 팔렸다.

70년대 서초구의 20평대 아파트 한 채가 2000만원 안팎이었다. 9급 공무원 월급이 1만 7300원이었다. 80년대 초반, 5년 경력의 판사 검사 교사의 월급이 10만원이 안되었다. 지금은?

 

인터넷에서 가져온 70년대 서울지역 부동산 매물의 매매가와 전세가 안내 내용이다. 서울 서초동 지역 아파트가 2000만원대이다.
인터넷에서 가져온 70년대 서울지역 부동산 매물의 매매가와 전세가 안내 내용이다. 서울 서초동 지역 아파트가 2000만원대이다.

같은 단위일지라도 경제적 가치는 시대와 조건에 따라 다양했다. 단위만 같을 뿐, 가치는 달랐다. 50년 전 100만 원과 지금의 100만 원을 동일하다고 주장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엉뚱하지만, 70년대 서울의 아파트값과 지금의 아파트값을 떠올려보는 것도 같은 단위가 같은 가치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채널A 행복한 아침 542회(2021.03.18) 방송 화면
채널A 행복한 아침 542회(2021.03.18) 방송 화면

예수 시대와 출애굽 시대를 아무런 시대적 배경 차이 고려 없이 이렇게 근거로 삼는 것은 엉터리다. 천 년, 천오백 년의 시대와 공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마치 지금 한국 사회의 노동자 품삯을 계산하면서 그 근거로 통일신라 시대의 자료를 가져다 쓰는 것과 다르지 않은 억지다.

예수가 출애굽 시대 노예의 몸값으로 팔렸다고? 아니다, 전혀 아니다.

저작권자 © 미주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