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종교인과의 직접적인 만남이 없는 타종교 이해하기 유감

비교종교학 수업을 위해 필자가 진행한 아랍 이슬람 문화 체험 프로그램. 이슬람 사원의 금요일 예배를 참관하고 현장을 담았다. ⓒ김동문
비교종교학 수업을 위해 필자가 진행한 아랍 이슬람 문화 체험 프로그램. 이슬람 사원의 금요일 예배를 참관하고 현장을 담았다. ⓒ김동문

미국과 한국의 기독교계 학교와 신학에서는 <비교종교학>, <타종교의 이해>, <세계종교의 이해>, <선교와 세계종교> 등의 과목을 가르치거나 배운다. 선교대회에서도 이슬람 선교나 힌두교 선교와 같은 타종교 선교를 주제로 강의나 세미나를 진행한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정작 당사자인 타종교인을 만나거나 이해하려는 마음과 태도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주제를 다룰 수는 없을까? 이는 필자가 타종교 이해 수업을 진행하거나 준비하고 싶은 방식 중 하나다.

유대교 회당에서 금요일 저녁 안식일 예배릏 드리고 있는 유대교인 ⓒ김동문

첫째, 타종교 시설 방문과 종교인 만남을 수업의 중요한 활동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대교 회당에서의 안식일 예배나 이슬람 사원의 금요 예배처럼 타종교의 종교 집회를 참관한다. 이 과정에서 예배자나 직업 종교인(타종교 교역자)을 만나고, 그들의 일상이나 종교적 관점에 대해 궁금한 점을 직접 묻고 답을 듣는 시간을 갖는다. 교리적인 질문보다는 종교인의 일상이나 이민자의 종교 생활과 같은 현실적인 주제에 초점을 맞춘다

이슬람 사원에서 금요일 예배를 드리고 있는 무슬림 ⓒ김동문
이슬람 사원에서 금요일 예배를 드리고 있는 무슬림 ⓒ김동문
이슬람 사원에서 금요일 예배를 드리고 있는 무슬림 ⓒ김동문
이슬람 사원에서 금요일 예배를 드리고 있는 무슬림 ⓒ김동문

둘째, 참여자의 경험 공유를 적극적으로 장려한다. 강의 참가자가 타종교 시설을 방문하기 전, 방문 중, 방문 후 어떤 느낌이나 변화를 경험했는지 나눈다. 또한, 타종교인과의 만남 전후에 자신의 생각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이야기하도록 한다.

셋째, 우리와 타종교인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한다. 평균적인 타종교의 특징과 자신의 신앙 및 교리에 대해 정리하고 비교한다. 이를 통해 타종교인의 언어와 세계관을 이해하고, 그들과 소통할 때 어떤 언어와 태도로 접근할지를 배우는 기회를 제공한다

힌두사원에서 아침 기도를 드리는 힌두교인 ⓒ김동문

무엇보다도, 태어나면서부터 특정 종교 문화 속에서 자라온 사람들에 대해 우리가 얼마나 공감하며 살아가고 있는지 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사람들에게 종교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강제된 것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타종교를 이유로 상대를 배제하거나 혐오하는 태도는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

비교종교학 수업을 위해 필자가 진행한 아랍 이슬람 문화 체험 프로그램. 이슬람 사원의 금요일 예배를 참관하고 있는 수강자. ⓒ김동문
비교종교학 수업을 위해 필자가 진행한 아랍 이슬람 문화 체험 프로그램. 이슬람 사원의 금요일 예배를 참관하고 있는 수강자. ⓒ김동문

기독교인이 타종교를 이해하거나 선교할 때 배우려는 자세보다는 규정짓고 평가하거나 판단하는 데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아 아쉽다. 진정한 타문화 체험은 ‘우리끼리’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문화를 직접 만나고 느끼는 데서 시작한다

비교종교학 수업을 위해 필자가 진행한 아랍 이슬람 문화 체험 프로그램. 한 수강자가 이슬람 사원에서 아랍계 무슬림 이만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동문
비교종교학 수업을 위해 필자가 진행한 아랍 이슬람 문화 체험 프로그램. 한 수강자가 이슬람 사원에서 아랍계 무슬림 이만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동문

 

저작권자 © 미주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