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 광야의 먼동  ⓒ김동문

신구약 성경에서 아라비아가 16번 정도 등장한다. ‘아라비아’는 때로는 지역을 뜻하기도 하고, 어떤 문명이나 문화권, 지역에 연결된 사람이나 무리를 뜻하기도 한다. 또한, 다른 단어로 아라비아를 지칭하기도 했다.

갈라디아서 4:25 “이 하갈은 아라비아에 있는 시내 산으로서, 지금 있는 예루살렘과 같은 곳이니, 그가 그 자녀들과 더불어 종 노릇 하고”라는 구절을 근거로 시내산이 오늘날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사우디아라비아 시내산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다.

지금의 시선이 아닌, 성경 본문 속 시대에 그 단어가 담아주는 내용을 따라 ‘아라비아’를 살펴본다.


시내 광야의 먼동  ⓒ김동문
시내 광야의 먼동  ⓒ김동문

1. 구약 성경 속 아라비아

아라비아의 모든 왕들과 나라의 고관들(왕상 10:15), 아라비아의 왕들과 그 나라 방백들(대하 9:14), 아라비아 사람들(대하 17:11), 구스에서 가까운 아라비아 사람들(대하 21:16), 아라비아 사람들(대하 22:1), 구르바알에 거주하는 아라비아 사람들(대하 26:7) 등으로 아라비아가 등장한다.

  • [열왕기상 10:15] 그 외에 또 상인들과, 무역하는 객상과, 아라비아의 모든 왕들과 나라의 고관들에게서도 가져온지라.
  • [역대하 9:14] 그 외에 또 무역상과 객상들이 가져온 것이 있고, 아라비아 왕들과 그 나라 방백들도 금과 은을 솔로몬에게 가져온지라.
  • [역대하 17:11] 블레셋 사람들 중에서는 여호사밧에게 예물을 드리며 은으로 조공을 바쳤고, 아라비아 사람들도 짐승 떼 곧 숫양 칠천칠백 마리와 숫염소 칠천칠백 마리를 드렸더라.
  • [역대하 21:16] 여호와께서 블레셋 사람들과 구스에서 가까운 아라비아 사람들의 마음을 격동시키사 여호람을 치게 하셨으므로
  • [역대하 22:1] 예루살렘 주민이 여호람의 막내 아들 아하시야에게 왕위를 계승하게 하였으니, 이는 전에 아라비아 사람들과 함께 와서 진을 치던 부대가 그의 모든 형들을 죽였음이라. 그러므로 유다 왕 여호람의 아들 아하시야가 왕이 되었더라.

나바트 왕국의 수도 페트라  ⓒ김동문
나바트 왕국의 수도 페트라  ⓒ김동문

2. 아라비아의 지리적 경계

구약 성경 본문에서 아라비아의 지리적 경계가 어디였는지를 짚어본다. “구스에서 가까운 아라비아 사람들”(대하 21:16)과 “구르바알에 거주하는 아라비아 사람들”(대하 26:7)은 어디에 살고 있던 이들일까?

  • [역대하 26:7] 하나님이 그를 도우사 블레셋 사람들과 구르바알에 거주하는 아라비아 사람들과 마온 사람들을 치게 하신지라.

70인역 성경에서는 구르바알을 페트라로 묘사(7 καὶ κατίσχυσεν αὐτὸν Κύριος ἐπὶ τοὺς ἀλλοφύλους καὶ ἐπὶ τοὺς ῎Αραβας τοὺς κατοικοῦντας ἐπὶ τῆς πέτρας καὶ ἐπὶ τοὺς Μιναίους.)하고 있다. 페트라가 나바트 왕국의 수도였던 오늘날 유적지로도 유명한 곳이지만, 이는 그 주변 지역을 일컫는 것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에돔 산지 페트라 지역의 아침 시내 광야의 먼동  ⓒ김동문

3. 아라비아 사람(느 2:19, 4:7, 6:1)은 에돔 사람?

느헤미야서에서는 아라비아 사람이 에돔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하던 이들, 즉 에돔 사람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호론 사람’ 산발랏, 암몬 사람 도비야, 아라비아 사람 게셈, 아스돗 사람 등은 예루살렘을 둘러싼 주변 민족이나 정치 세력을 아우르는 표현이다.

  • [느헤미야 2:19] 호론 사람 산발랏과 종이었던 암몬 사람 도비야와 아라비아 사람 게셈이 이 말을 듣고 우리를 업신여기고 우리를 비웃어 이르되 너희가 하는 일이 무엇이냐 너희가 왕을 배반하고자 하느냐 하기로
  • [느헤미야 4:7] 산발랏과 도비야와 아라비아 사람들과 암몬 사람들과 아스돗 사람들이 예루살렘 성이 중수되어 그 허물어진 틈이 메꾸어져 간다 함을 듣고 심히 분노하여
  • [느헤미야 6:1] 산발랏과 도비야와 아라비아 사람 게셈과 그 나머지 우리의 원수들이 내가 성벽을 건축하여 허물어진 틈을 남기지 아니하였다 함을 들었는데 그 때는 내가 아직 성문에 문짝을 달지 못한 때였더라.

4. 아라비아 사람은 게달 족속?

아래 본문은 아라비아(사람)를 유목 문명과 연결된 집단으로 그리고 있다. 아라비아는 지역이고, ‘게달’은 족속과 연결된 이름이다. 이사야 21:13-17에서는 게달에 관한 경고가 등장하며, 게달은 아라비아와 밀접하게 연결된 집단으로 묘사된다.

  • [이사야 21:13] 아라비아에 관한 경고라. 드단 대상들이여, 너희가 아라비아 수풀에서 유숙하리라.
  • [이사야 21:16-17] 주께서 이같이 내게 이르시되 품꾼의 정한 기한 같이 일 년 내에 게달의 영광이 다 쇠멸하리니, 게달 자손 중 활 가진 용사의 남은 수가 적으리라 하시니라. 이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5. 아라비아 사람은 이스마엘 족속?

창세기 25장에서는 이스마엘 족속에 관한 족보가 등장하며, 이들이 하윌라에서부터 수르에 이르기까지 거주했다고 묘사된다. 이는 오늘날 아라비아반도의 북서부에서 동부까지 연결된 지역을 뜻한다.

  • [창세기 25:18] 이스마엘 자손들이 하윌라에서부터 수르에 이르기까지 애굽 앞에 있는 아수르로 통하는 길에서 거주하였으니...

이스마엘 족속의 지리적 범위는 아라비아의 일부와 겹친다고 볼 수 있다.


에돔 광야의 유목민 ⓒ김동문
에돔 광야의 유목민 ⓒ김동문

6. 아라비아 사람은 목자

아라비아 사람은 오늘날 요르단과 이라크 사이에 살던 이들을 뜻하기도 했다. 아래 본문은 바벨론의 멸망을 예언하는 내용이다. 바벨론이 망해서 ‘아라비아 사람’도 거처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 망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여기서 ‘아라비아 사람’과 ‘목자’(유목민족)는 같은 뜻을 가진다.

  • [이사야 13:20] 그 곳에 거주할 자가 없겠고, 거처할 사람이 대대에 없을 것이며, 아라비아 사람도 거기에 장막을 치지 아니하며, 목자들도 그 곳에 그들의 양 떼를 쉬게 하지 아니할 것이요.

 

아우구스투스 황제 당시의 로마 제국(기원전 31년~서기 14년), 기원전 31년 기준 로마 제국은 노란색, 기원전 19년에 확장된 지역은 진한 녹색, 기원전 9년에 추가된 지역은 연두색,  연한 녹색부분은 서기 6년에 추가된 지역이다.
아우구스투스 황제 당시의 로마 제국(기원전 31년~서기 14년), 기원전 31년 기준 로마 제국은 노란색, 기원전 19년에 확장된 지역은 진한 녹색, 기원전 9년에 추가된 지역은 연두색, 연한 녹색부분은 서기 6년에 추가된 지역이다.
아라비아 지역은 독립된 지역으로 로마제국은 이 지역을 Arabia Nabatea 로 지칭했다. 나바트 왕국의 영토였다.
아라비아 지역은 독립된 지역으로 로마제국은 이 지역을 Arabia Nabatea 로 지칭했다. 나바트 왕국의 영토였다.

7. 신약에서의 아라비아

신약에서 언급되는 아라비아는 지리적, 정치적 경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로마 제국은 이미 점령한 땅과 점령하지 않은 지역을 구분하며, 특정 지역을 그들 식으로 명명했다. 1세기 초의 로마제국에서 "아라비아 페트라"는 페트라 주변 지역을 포함하는 지명으로 사용되었다.

로마 제국이 가장 크게 확장된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117년); 제국의 영토는 녹색, 원로원의 영토는 분홍색, 속주는 회색 음영으로 표시되어 있다.
  • [갈라디아서 4:25] "이 하갈은 아라비아에 있는 시내 산으로서, 지금 있는 예루살렘과 같은 곳이니..."
하드리아누스 황제 재위 기간중인 125년경의 로마제국의 영토이다.
하드리아누스 황제 재위 기간중인 125년경의 로마제국의 영토이다.
로마제국 영토에 병합된 지역(지방)은 아라비아 페트라(Arabia Petraea) 또는 아라비아로 지칭했다.
로마제국 영토에 병합된 지역(지방)은 아라비아 페트라(Arabia Petraea) 또는 아라비아로 지칭했다.

무엇보다도 아라비아 지역 안에 시나이반도가 포함되어 있다. "아라비아에 있는 시내 산"의 표현 안에는 시나이반도의 어느 곳에 시내산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시나이 반도의 산지  ⓒ김동문
시나이 반도의 산지  ⓒ김동문

이런 맥락에서 "아라비아"는 현대의 사우디아라비아와 직접적 연관성이 없다. 즉, “아라비아에 있는 시내산”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는 시내산”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저작권자 © 미주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